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자계산기를 통해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 원리금 및 원금 균등 상환 방식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경우

 

2번 접속으로 이자계산 방법을 알아보세요.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많은 분들의 어렵고 복잡한 이해를 돕고자 이자 계산기와 원리금 균등상환 및 원금 균등상환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추가로 나에게 맞는 대출은 어떤게 있을지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상환방식의 차이점

 

 
 

목차

1. 기본 이해하기

    - 원리금균등 상환

    - 원금균등 상환

    - 원금 만기 일시상환

    - 거치기간

2. 분할 상환의 개념

    - 분할 상환 비교

    - 상환계획 정리

3. 대출이자 계산기

4. 대출 선택 결정

 

기본 이해하기

우선 기본적으로 원리금 균등 상환과 원금 균등 상환이 무엇인지는 알아야겠죠?

 

원리금균등 상환

 

원금과 이자를 합한 상환금액이 매달 동일합니다.

 

 

원금균등 상환

 

매달 원금을 동일하게 상환하므로, 이자는 매달 줄어들게 됩니다. 단, 매달 이자가 다르므로 원금과 이자를 합한 상환 금액도 매달 달라지게 됩니다.

 

 

원금 만기 일시상환

 

대출기간동안 매달 이자만 상환하고 대출 만기일에 원금을 일시 상환합니다.

 

 

거치기간

 

거치기간동안 이자만 납부하고, 거치기간이 끝나면 원금+이자를 납부하게 됩니다. 따라서 원리금 및 원금 균등상환에만 적용됩니다.

 

 

여기서 잠깐!!!

원리금균등 상환이냐 원금균등 상환이냐는 실제 대출을 받고자 할때 결정해야하는 방식입니다.

대출 조건이 맞지 않는다면 선택의 의미는 없는 거나 다름이 없겠죠.

꼭! 알아두시고 본인에게 맞는 선택을 하시길 당부 드립니다. 대출 조건은 현재 본인의 소득과 신용도가 분명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 생각되며 그외 대출 조건에서도 현재 가지고 있는 부채가 있는지도 확인이 되는 상황입니다.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신용도에 문제가 없는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대출 조건이 맞는지 상담을 먼저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릴게요.

대출 조건이란 분명 내가 앞으로 어떠한 상품을 선택하든 그것에 맞게 결정될 사항이라고 생각이되네요.

그럼 꼭 좋은 선택의 결과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다시 글을 이어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분할 상환의 개념

그럼 원리금 균등과 원금 균등에 관한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원리금균등 상환

매월 동일한 금액의 원리금 (원금+이자) 상환

장점 : 동일한 금액을 상환해 자금 계획 수립에 용이합니다. 원금균등 분할보다 초기 월 상환금액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 : 원금균등 분할상환보다 원금 상환 비중이 적어서 총 이자액이 더 많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대출금이 많은 초기에는 이자도 클것입니다. 따라서 초반에는 이자를 많이내고 원금을 조금내는것이 특징인데요.

이자가 적은 후반에는 원금 비중을 높여 총 원리금을 같은 구조로 만들어주는 방식입니다.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원리금균등 상환

구분 1회차 평균 마지막 회차
월상환금 417,938
납입원금 84,605 208,333 416,550
대출이자 333,333 209,605 1,388

그래프를 보면 아시겠지만 273회차에서 납입원금과 대출이자가 바뀌는 현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즉, 273회차까지는 이자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상환하는 원금을 보면 1회차 84,605원에서 마지막 회차에는 416,550원까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그럼 원금 균등상환은 어떨까요?

 

원금균등 상환

매월 동일한 금액의 원금을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 초반에는 많은 원금을 상환하기 때문에 후반에 이자가 적습니다. 즉, 대출 원금을 빨리 갚을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단점 : 초반에 상환금액이 크기때문에 부담이 될 수 있으며 매월 상환하는 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원금균등 상환

구분 1회차 평균 마지막 회차
월상환금 541,667 375,347 209,028
납입원금 208,333
대출이자 333,333 167,014 694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동일한 원금을 상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추가로 대출이자와 원리금도 일정하게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대출을 다 갚은 마지막에는 거의 원금만 내는 구조입니다.

 

 

그럼 요즘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다는 체증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증식 상환

점차 상환하는 원금이 증가하는 구조입니다.

  • 장점 : 초반 상환금액이 적어 소득이 적은 대출 초기에 상환 부담이 가장 적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매월 원금이 증가하고 원금을 늦게 상환하다보니 내야하는 대출 이자가 많은 편입니다.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체증식 상환

구분 1회차 평균 마지막 회차
월상환금 333,333 447,062 560,791
납입원금 0 208,333 558,928
대출이자 333,333 238,729 1,863

 

원금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구조로서 초반에는 이자만 상환하다 뒤로 갈수록 상환비율이 증가하고 이자는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분할 상환 비교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상환비교

정리를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원리금균등 : 전 기간 부담이 동일합니다.
  2. 원금균등 : 초반 부담이 크게 작용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부담이 줄어듭니다.
  3. 체증식 : 초반 부담이 적고, 갈수록 부담이 증가합니다.

 

상환계획 정리

구분 월상환근 납입원금 대출이자
원리금균등 상환 1회차 417,938 84,605 333,333
평균 208,333 209,605
마지막 416,550 1,388
원금균등 상환 1회차 541,667 208,333 333,333
평균 375,347 167,014
마지막 209,028 694
체증식 상환 1회차 333,333 0 333,333
평균 447,062 208,333 238,729
마지막 560,791 558,928 1,863

월 상환하는 측면에서 볼때 소득이 높아지는 시간이 필요한 만큼 초기보다 자산가치도 높아지는 것을 감안한다면 체증식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분 평균 원금상환 금액 총 이자액 총 상환금액
원리금균등 상환 417,938 100,610,465 200,610,465
원금균등 상환 208,333 80,166,667 180,166,667
체증식 상환 447,062 114,589,901 214,589,901

반면에 대출을 빨리 갚기를 원하는 분들이라면 원금균등상환 방식이 좋은 선택이라고 볼 수 있겠죠.

 

대출이자 계산기

그럼 대출이자 계산기를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계산기 사이트에서 내가받을 금리나 기간을 입려하여 계산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하기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부동산 이자 계산기

 

이자계산기-원리금-원금균등-상환
이자 계산기 예시

상환 금리를 선택하고 대출금액, 기간, 금리를 입력하면 원하는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추가로 상환스케쥴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직접 해보신다면 '아! 이거구나'라고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본인에 맞는 대출 선택 결정

체증식 상환

현재 소득이 적어 차후에 많은 금액을 상환하고 싶을때나, 집을 30년 안에 매도할 계획이 있는 경우에 추천합니다.

 

원금균등 상환

빠른 시간에 대출을 상환하고 싶을 경우에 추천합니다.

 

원리금균등 상환

계획적으로 일정한 금액을 상환하고 싶을때 추천합니다.

 

뭐든 꼼꼼하게 알아보신 후 진행하기를 추천 드립니다. 작은 금액이라도 쌓이면 커지는건 당연합니다.

현재 나에게 맞는 상품이 어떤것일지를 반드시 알아보신 후 한번 그리고 두번의 생각을 거쳐 선택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오늘의 이 정보가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오늘도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